공학 대학원 강좌용[스마트 제조_18]
Summary
In contrast to the existing environment, the development of "drones" as another means of transport (How) that can transport land, sea, and air is a highly efficient means of transportation. It can solve variables according to sea and air situations and is inexpensive, making it a new technology where technical development is actively being made.
Other than that, methods such as direct production and customers directly receiving such as 3D printers, and transportation development that can be transported by information sharing the transport point having the same destination such as Uber taxis are being made.
Insight
Collaboration" refers to the sharing and analysis of information through bidirectional information channels between each other in all activities such as manufacturing, distribution, sales, and consumer feedback to provide efficient support for decision making.
In the fashion and cooking field, it responds to customer needs satisfaction by selecting fabrics and cooking ingredients that meet customer tastes (customization) and attaching sensors to manufacturing equipment and cooking equipment to check real-time cooking situations and food calorie through valuable situations and information (connectivity) by the collaboration activity.
Discussion
For Collaboration, the purchasing and usage pattern of the consumers who have various purposes is different, so I have a concern about whether the cost and service in a limited market can be made well.
좋은 무대는 “Collaboration”을 설명하고 있으며 설계에서부터 제조, 유통, 판매, 소비자의 피드백의 모든 활동들에서 서로간 쌍방 정보채널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분석하여 의사 결정에 효율적인 지원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Collaboration”의 예로 패션산업에 대해 소개 하고 있으며 과거 저 임금, 대량 생산방식 이였으나 스마트 제조기술이 가진 연결 및 협업으로 수요 지와 생산지가 밀접 위치 있어 도시 내에서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제 조-소비 환경의 변화를 만들고 있다.
이는 1개 Lot 제공 품으로 다양한 색상, 패션 구현으로 완성품을 만들 수 있도록 재고 회전율을 가지는 유통시스템을 운영한다면 주문시점부터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시점까지의 Lead time을 단축되며 소비자 Needs만족하게 된다.
스마트 쿠킹의 경우 쿠킹 장비에 부착된 다양한 센서로부터 온도, 습도, 기름 농도, 요리 반제품 품질 상태 등을 센서를 통해 측정하여 불의 세기, 요리 시간 등에 대한 조절 가능하며 제조 과정과 소비자간 스마트폰에 의해 가시화된다면 메뉴에 사용되는 식자재 원산지, 신선도, 소요 시간, 예상 도착 시간 등이 공유되고 요리 과정 중계로 조리용 도구의 온도, 식자재의 생산, 공급 이력, 익은 정도, 열량, 요리사 이력, 위생 상태 등이 고객으로 전달되어 고객 신뢰 확보가 가능하다
스마트 쿠킹 분야에서 스마트 제조 요소 기술(IoT, RFID, 클라우드 서버)을 도입하여 원재료의 원산지 정보를 확인하고 “Customization”_음식 주문 시 고객 취향에 맞는 원료를 선택 가능하여 “Connectivity”_음식 조리 상황, 음식 열량 등의 음식 정보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Collaboration”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로지스틱스 사업을 기존 환경과 스마트 환경을 각각 Who, When, Where, What, How로 살펴보고 있으며 제조, 판매 기업이 Mass production 환경 이였으나 고객 맞춤형의 스마트 로지스틱스에서는 Needs가 명확한 소비자(WHO)가 직접 경험적 정보를 가지고 설계, 배송기업 선정할 수 있다. 3D 프린터와 같은 요소 기술 등으로 설계, 생산하여 완성품을 소비자가 직접 수령하는 시간(When)이 기존의 산업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어디(Where)로 보내야 하는 것은 기존 환경과 다른 것은 소비자 선택에 의해 다양한 경로가 존재 가능하므로 기존 대량생산 환경의 배송경로보다 훨씬 많을 수 있으므로 복잡한 경로를 세부 단계로 나누어 구체화한 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이 필수적이다.
로지스틱스 운송 중인 제품 정보(What)는 기존 환경과 달리 스마트 로지스틱스의 제품 하나마다 운송 정보를 가지고 있어 공급 기업으로부터 제조 기업을 거쳐 소비자에게 이르는 제품의 전달 방향이 바뀌어서, 소비자에 서부터 제조기업으로, 다시 공급기업으로 전달되어 제품 결손, 소비자 단순 변심으로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환불하거나 다른 제품으로 교체하고자 제조기업에게 되돌려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