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e lags behind competitors like Google, Microsoft, and Facebook in AI research but has recently taken steps to strengthen its AI capabilities through startup acquisitions and expert recruitment. Deep learning technology is spreading across industries, with startups innovating in areas such as computer visi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healthcare. Major companies like Google and IBM leverage AI to enhance their core businesses, while startups grow by focusing on niche technologies and acquisition strategies.

인공지능에 소극적인 애플
혁신적인 기업 이미지와는 달리 애플은 인공지능 분야에서만큼은 구글, 마이크 로소프트, 페이스북, IBM에 많이 뒤져 있는 듯하다. 2014년 캐나다 몬트리올에 서 있었던 인공지능 분야의 권위적인 학술대회인 신경정보처리시스템NIPS;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컨퍼런스에서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심지어 바이 두까지 많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던 것에 비해 애플은 아무것도 내놓지 못했다. 2010년 스타트업을 인수하며 시작된 개인 비서 서비스 시리는 당시 혁신적인 서비 스라고 평가받았으나 지금은 후발주자인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타나나 구글 나우보다도 뒤진다는 평가다. 애플의 신비주의 정책으로 내부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상세 하게 알지는 못하지만 여러 가지 정황으로 미뤄볼 때 최근 인공지능 분야에 투자 가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애플은 2015년 10월에 스마트폰에 저장된 이미지를 자동 분류해주는 기술을 보유 한 스타트업 퍼센트아이오 Perceptio와 자연어 처리 분야에 전문적 기술을 개발한 영 국의 스타트업 보컬아이큐VocalIQ를 인수했다. 또한 애플은 인공지능 분야의 핵심 인력 확보에도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 분야 거물급 연구원 을 영입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애플의 구인 웹사이트를 통해 40여 명의 인공지능 전문가를 찾고 있다고 공지했다.
애플 입장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이 애플의 사업 포트폴리오에 얼마나 기여할지 다 각도로 고민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은 추측컨대 애플의 미래 사업에 그것이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고 결정을 내렸을 가능성이 높다. 어찌됐건 확실한 것은 애 플도 이제 본격적인 인공지능 전쟁에 뛰어들었다는 사실이다.
딥러닝 기술의 공백을 메워주는 스타트업들
최근 실리콘밸리는 클라우드와 빅데이터에서 인공지능과 딥러닝으로 자본의 흐름 이 바뀌고 있으며, 구글 브레인과 딥마인드 그리고 왓슨 등의 가시적인 성공으로 딥러닝의 활동무대는 이제 아카데미아에서 인더스트리로 급속히 이동중에 있다. 매년 딥러닝에 유입되는 투자펀드는 고속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지난 2년간 약 7 억 달러 이상의 투자가 이뤄졌다. 지금 세계는 IT의 르네상스라고 하는 세 번째 인 공지능의 봄이 시작된 분위기다. 스타트업들은 구글, 페이스북 등과 같은 대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틈새 기술을 개 발하면서 생태계내 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고, 대기업들은 검증된 기술을 확보하는 하나의 방편으로 스타트업에 아낌없는 투자를 하고 있다. 다음은 딥러닝 분야에서 기술과 사업모델 관점에서 글로벌 현황을 이해하는 의미로 현재 분야별로 활동하 고 있는 스타트업들을 정리해 보았다.
• 범용 프레임워크 분야: 다양한 산업 및 사용처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알고리즘, 개발 환경 기술을 제공하는 업체들이 이 분야에 속한다.
· MetaMind는 디지털 이미지 분석과 자연어 처리에 최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 히 클라우드 기반의 딥러닝 서비스는 매우 독보적이다. 스탠포드에서 박사과정을 마 치고 메타마인드를 창업한 리차드 소처Richard Socher는 그의 모교와 다른 여러 대학 들과 매우 밀접한 협업을 하고 있으며, 여러 저명한 컨퍼런스에 초대되는 등 산업계 로부터 매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있다. 2016년 4월 메타마인드는 미국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인 세일즈포스Salesforce에 인수됐다.
· Nervana는 파이썬 Python 기반 딥러닝 프레임워크인 니온neon을 오픈소스 형태로 배포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스타트업이다. 설립자는 퀄컴Qualcomm 칩 에 최적화된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등 칩 레벨에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최적화 전문가다. 이 회사의 주력 상품인 니온은 특히 GPU에 최적화된 파이썬 기반 프레임워크이며, 대표적인 고객으로 미국의 국립에너지연구과학전산센터NERSC가 있다. 2015년 7월까지 Nervana는 총 2천4백만 달러를 투자받았다. 투자사 중에는 야후! CEO인 메리사 마이어의 남편이 운영 중인 데이터 콜렉티브DataCollective를 비 롯해 안드로이드 창업자인 앤디 루빈도 포함돼 있다.
Skymind는 DeepLearning4J라고 하는 자바 기반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오픈소스 형태로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자바는 웹서비스 개발의 표준 개발 언어이며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에서도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된다. 딥러닝은 최근까지 개념 증명이나 프로토타입 목적으로 이용됐기 때문에 사용하기 쉽고 관련 라이브러리가 많은 파이썬이나 매트랩Matlab, R이 개발언어로 사용됐다. 그러나 해석기interpreter가 필요한 이러한 언어들은 성능에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 딥러닝 개념들이 어느 정도 정리되면서 실제 상용 시스템 구축이 가시화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딥러닝 프로 그램의 성능 향상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DeepLearning4J 같은 자바 기반의 프 레임워크가 새로운 해결 방안으로 떠올랐다. 이미 자바 진영에서 자리매김한 하둡이 나 스파크를 연동하는 DeepLearning4J는 현재 산업계에서 다수의 유료 고객을 확 보하고 있다.
• Ersatz Labs는 인터넷상에서 표준 웹 인터페이스나 Ersatz가 개발한 API를 이용해 데이터를 관리하고 딥러닝 모델을 학습시키는 서비스를 클라우드 방식으로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과금은 GPU 사용 시간으로 정한다.
* 컴퓨터 비전: 딥러닝의 붐은 사실 딥러닝을 이용한 컴퓨터 비전의 정확도가 증가하면 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진다는 기대 때문에 일어났다. 최근 컴퓨터 알 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얼굴 인식률은 사람과 비교해서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발전했 다. 전반적으로 자연어 처리 분야나 컴퓨터 비전 분야에 딥러닝 스타트업이 가장 많다.
· Madbits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이미지를 자동으로 이해하고 자료들을 정 리하고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다. 2014년에 트위터에 인수됐다.
Perceptio는 스마트폰에 있는 이미지를 분류하는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으로 알 려져 있으며, 2015년 애플에 인수되면서 회사의 웹사이트도 동시에 폐쇄되어 구체적 인 기술과 사업모델은 공개되지 않았다.
· Lookflow는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으로 디지털 이미지를 분류하는 기술을 가진 업 체로만 알려져 있고 구체적인 서비스는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2013년 10월 야후! 플리커에 인수됐다.
· HyperVerge는 인도공과대학 출신들이 설립한 스타트업으로 얼굴인식과 이미지 상황인식, 이미지 유사성 검색 등에 사용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 회사는 스마 트폰에서 이미지를 정리해주는 실버Silver라는 앱도 개발했다. 2015년 투자사로부터 100만 달러의 시드 펀드를 받은 바 있다.
Deepomatic은 사진 속의 사물을 인식하는 기술을 가진 업체로, 특히 신발이나 의 류 등 패션 분야의 사물을 인식한다. 모바일을 통한 전자상거래 업체와 연계해 실제 매출을 실현하고 있다. 2015년 약 150만 달러에 달하는 투자를 받았다.
Descartes Labs는 위성사진과 같은 대용량 이미지 분석에 전문성을 갖춘 업체다. 예를 들면, 위성사진을 이용하여 전 국토에 걸쳐 농작물 재배 현황을 분석한다. 미국 로스 알라모스 국립 연구소Los Alamos National Lab에서 분사됐으며 지금까지 총 330만 달러 규모의 펀드를 투자받았다.
· Clarifai는 뉴욕대학교 박사과정 학생들이 설립한 스타트업으로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해 이미지와 동영상에 대한 태깅tagging API를 제공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시리즈 A까지 진행됐고 지금까지 1,0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받은 상태다.
· Tractable은 지금까지 사람이 직접 육안으로 수행했던 외관 점검 태스크를 딥러닝 을 이용해 컴퓨터가 자동으로 대행해주는 기술을 보유한 업체다. 예를 들면, 공장 내 파이프나 자동차에 있는 균열 등을 이미지 분석을 통해 찾아낸다.
Affectiva는 얼굴 이미지를 가지고 감정 반응을 구별하는 기술을 보유한 업체다. 시 리즈 C까지 진행됐고 호라이즌 벤처스 Horizon Ventures, 메리 미커Mary Meeker, 클라이 너 퍼킨스Kleiner Perkins 등의 벤처투자사로부터 지금까지 1,200만 달러의 투자를 받았다.
Alpaca는 Labellio라는 회사의 후원을 받는 스타트업으로,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반 으로 이미지를 분류하는 모델을 GUIGraphic User Interface만을 가지고 구현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다.
Orbital Insight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위성사진을 분석해서 글로벌 트렌드를 이 해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자연어 처리: 컴퓨터 비전에서 성공적인 활용도를 보여준 딥러닝은 곧 자연어 처리 분 야로 관심이 옮겨졌다. 사람의 감각으로 보면 시각과 청각의 중요한 양대 지각이다. 컴 퓨터 비전에서는 주로 컨볼루션 신경망CNN 알고리즘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자 연어 처리에는 순환신경망RNN이 주로 사용된다.
• AlchemyAPI는 자연어 처리와 컴퓨터 비전에 필요한 API를 제공하는 회사다. 특히 자연어 처리에서 감정 분석 및 주제어 추출 등에 관련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2015 년 IBM 왓슨 그룹에 인수됐다.
· VocallQ는 영국의 스타트업으로 2015년 애플에 인수되기 전까지 음성인식과 자연 어 처리 분야의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 애플의 시리에 대화 기능을 더욱 정교화 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Idibon은 어떤 언어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다. 2014년에 시리즈 A가 진행됐고 총 55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
· Indico는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자연어 처리 API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공되는 API는 텍스트 태깅, 감성 분석, 언어 선택 및 예측 그리고 특정 표현을 사 용하는 사람의 정치적 성향을 예측하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 Semantria는 10여 종 이상의 언어에 대해 자연어 처리 태스크를 수행하는 API 및 엑셀 플러그인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한다. 매월 사용료 1,000달러를 지불하면 API 및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다. 유사한 서비스를 고객 사이트에 설치해주는 사 업을 하는 Lexalytics라는 회사가 2014년에 인수했다.
· Parallel Dots는 인도의 스타트업으로, 좀 더 진화된 자연어 처리와 머신 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아카이브로 구성된 콘텐츠를 분석해서 시간 순서에 따라 스토리 라인을 만들어 준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블로거나 온라인 출판업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콘텐츠를 직관적이고 즉각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전 세계 온라인 출판 시장은 2016년 기준으로 약 110억 달러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
· Xyggy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검색 대상은 키워 드에서부터 짤막한 텍스트 정보나 문서 전체가 될 수 있고 결과물은 검색 대상을 포 함하고 있는 유사한 문서가 된다.
• 응용 서비스: 구글, 페이스북, IBM 등 대기업들은 자신들의 주력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고 있으며, 스타트업 진영에서는 헬스케어 분야의 틈새시장을 겨 냥한 응용 서비스가 눈에 많이 띈다.
· Enlitic는 딥러닝 기술을 의료 진단에 활용한 업체다. 엑스레이나 MRI, CT 스캔 이 미지를 분석해서 사람보다 정확하게 암 초기 단계의 징후를 발견해 낸다. 2015년까 지 300만 달러의 투자를 받았다.
Quantified Skin은 사용자가 직접 셀카로 찍은 자신의 피부를 분석해서 도움이 되 는 상품과 다양한 관련 활동을 추천해주는 서비스 업체다. 약 28만 달러의 초기 투 자를 받았다.
• Deep Genomics의 창업자 브렌든 프레이Brendan Frey 박사는 딥러닝의 산실인 토 론토 대학 딥러닝 연구팀 출신이다. 이때 제프리 힌튼 교수와 몬트리올 대학의 요슈 아 벤지오 교수, 그리고 지금은 페이스북의 인공지능 연구소장인 얀 르쿤과도 연구 동료로서 함께 일하기도 했다. 이 회사는 사람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해서 개인 화된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딥러닝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SPIDEX라는 초기 버전의 상품을 개발 완료했다.
· StocksNeural은 순환신경망RNN 알고리즘을 이용해 주식시장에서 주가를 예측하 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다양한 시계열 데이터를 딥러닝으로 분석해 미국 주식 시 장에서 사고 파는 신호를 매일 예측해서 알려준다.
• Analytical Flavor Systems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식음료 제조업체에게 소 비자의 취향 분석과 생산품의 품질 관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툴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식음료 제조업체는 타깃 고객 분류와 제품의 변질 여부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 Artelnics는 스페인 소재 스타트업으로, OpenNNOpen Neural Network이라는 오픈소 스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여러 종류의 기업에 데이터 마이닝 형태의 머신러닝 시스 템을 구축해준다. OpenNN은 C++로 작성된 머신 러닝 라이브러리로 2003년 공학 분야 수치해석 국제 연구소CIMNE에서 개발한 것을 이 회사가 이어받아 사업화하고 있다.
책 제목 : 알고리즘으로 배우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입문
지은이 : 김의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