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ate uses loudspeakers to implant class consciousness, prejudice, and social behavior into sleeping children. As seen in the Nile River example, mere memorization without understanding renders knowledge meaningless. Sleep-learning shapes emotions and thoughts, replacing free judgment with internalized state-provided “suggestions.” Conditioning links colors, classes, and even smells to emotional reactions, creating automatic aversions. The Director proudly calls this method the ultimate tool of moralization, claiming that even adults' thoughts and decisions follow these “state-issued suggestions.” Education is no longer about knowledge, but about behavioral control to produce obedient citizens. Emotions, cognition, and values are no longer personal—they are manufactured by the state.
상자 한쪽 면에 동그란 쇠창살을 통해서 부드러운 목소리가 흘러나 온다. "나일 강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길고 지구의 모든 강 중에서 두 번째로 깁니다. 길이는 미시시피나 미주리 강만 못하지만, 나일 강은 유역에 있어 서는 세계에서 으뜸입니다. 그 유역은 위도가 35도에 걸쳐 있습니다." 다음 날 아침에 어떤 사람이 그 아이에게 묻는다. “토미, 너는 아프리카에서 제일 긴 강이 어느 강인지 아니?" 토미는 머리를 흔든다. “하지만 너는 이렇게 시작하는 것을 기억하고 있잖아? 나일 강은........ 그러자 토미는 기억을 더듬으며 천천히 말한다. "나일……………... 강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길고, 지구 위의....... 모든 강 중에서………….. 두 번째로...... 깁니다." "자, 그러면 이제 아프리카에서 제일 긴 강은?" "몰라요.” 토미는 멍한 눈으로 힘없이 대답한다. “하지만 나일 강은, 토미." "나일 강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길고...... 두 번째로………………." "그러면 어느 강이 가장 긴 강이니? 토미." 그러자 토미는 왈칵 울음을 터뜨린다. "몰라요. 난 몰라요!" 토미는 울부짖는다. 국장은 토미의 울부짖음이 초기의 실험자들을 실망시켰다고 말했다. 그 실험은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자고 있는 아이들에게 나일 강의 길이를 가르치려는 시도는 더 이상 하지 않았다. 당연한 일이었다. 과학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과학을 배울 수가 없을 것이다. 국장은 문으로 향했다. 학생들은 국장 뒤를 따라 엘리베이터가 있는 곳 으로 갔다. "조용히 하십시오. 조용히 하십시오." 그들이 15층에 들어서자 확성기에서 안내 방송이 나왔다. " 조용히 하십시오. 조용히 하십시오." 확성기에서는 지친 기색도 없는 똑같은 목소리가 반복해서 들려왔다. 학생들은 자동적으로 발뒤꿈치를 들어 올렸다. 물론 그들은 알파 계급이 었다. 알파 계급이라고 해도 그들 또한 조건반사 훈련을 받기는 마찬가지 였다. 15층의 분위기는 확성기의 절대적인 명령으로 숨죽인 듯 조용했다. 45미터쯤 가니 문이 하나 있었다. 국장은 조심스럽게 그 문을 열었다. 방 안에는 80개의 간이침대가 벽에 기대어 나란히 정렬되어 있었다. 멀리서 속삭이는 듯한 희미한 숨소리가 들려왔다. 학생들은 국장을 따라 방 안으로 조심스럽게 들어섰다. 그들이 들어서자 보모가 일어나 국장 앞에서 차려자세를 취했다. “오늘 오후 수업은 무엇이오?" 국장이 물었다. "처음 40분 동안은 기초 성교육이었습니다. 지금은 기초 계급의식에 대 한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국장은 간이침대의 긴 대열을 따라서 천천히 걸어갔다. 80명의 소년 소 녀가 부드럽게 숨을 내쉬며 잠을 자고 있었다. 모든 베개 밑에서 속삭이는 소리가 들려왔다. 국장은 걸음을 멈추고 한 간이침대 위로 몸을 구부려 조심스럽게 귀를 기울였다. "기초 계급의식이라고 했소? 확성기를 좀 더 크게 울려 그것을 반복하 시오." 국장은 방의 안쪽으로 걸어가서는 확성기의 스위치를 눌렀다. “......모두 초록색 옷을 입고 있습니다.”확성기에서는 부드럽지만 또렷한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그리고 델타 아이들은 카키색 옷을 입고 있습니다. 나는 델타 아이들 과 놀기 싫습니다. 그리고 엡실론들은 더욱더 나쁩니다. 그들은 너무나 어 리석기 때문에 글을 읽거나 쓸 줄 모릅니다. 게다가 그들은 까만색 옷을 입고 있는데, 그것은 내가 아주 싫어하는 색깔입니다. 나는 내가 베타인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잠시 말이 끊겼다. 그러다가 다시 이야기가 흘러나왔다. “알파 아이들은 회색 옷을 입고 있습니다. 그들은 놀라울 만큼 영리하 기 때문에 우리보다 더 열심히 일합니다. 나는 그렇게 열심히 일하지 않아 도 되기 때문에 베타가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감마나 델타보다는 훨씬 더 좋습니다. 감마는 어리석습니다. 그들은 모두 초록색 옷을 입고 있습니다. 그리고 델타 아이들은 카키색 옷을 입고 있습니다. 나는 델타 아이들과 놀기 싫습니다. 그리고 엡실론들은 더욱더 나쁩니다. 그들은 너무나 어리석기 때문에……………..” 국장은 스위치를 껐다. 더 이상 소리가 나오지 않았다. 오직 유령처럼 가냘픈 목소리가 80개의 베개 밑에서 중얼거렸다. “눈을 뜰 때까지 40번 내지 50번 반복합니다. 그리고 목요일과 토요일 에 한 번, 일주일에 세 번 120번씩 3개월 동안, 그것이 끝나면 고급반으로 들어갑니다." 장미와 전기 충격, 델타의 카키색 옷, 그리고 아위(미나리과에 속하는 여 러해살이풀)의 냄새─이 모든 것들이 아이가 말을 배우기 전에 서로 분리 될 수 없을 정도로 결합된다. 그러나 말이 필요 없는 조건반사 훈련에 대 해서는 미숙하고 조잡한 수준이다. 미세한 차이를 구별할 줄 모르고, 보다 복잡한 행동과정을 배울 수 없다. 그런 복잡한 행동과정을 배우기 위해서 는 말이 필요하다. 그 말들은 이성적인 말이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 수 면 시 이루어지는 교육이어야 한다. “이것은 모든 시대에 걸친 가장 강력한 도덕화 및 사회화의 힘입니다.” 학생들은 국장의 말을 노트에 받아 적었다. 국장은 또 한 번 스위치를 눌렀다. "놀라울 만큼 영리하기 때문에...... 나는...... 되기 때문에 베타가 된 것 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런 식의 조건반사 교육과 훈련은 떨어지는 물방울들이 단단한 화강암에 구멍을 낼 수 있는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 “마침내 아이들의 마음에 암시를 주게 되면, 암시의 총체가 아이들의 마음이 되는 것입니다. 아이들의 마음뿐만이 아닙니다. 어른들의 마음도 마찬가지입니다. 판단하고 갈망하고 결정하는 마음은 이러한 암시로 이 루어집니다. 그러나 이러한 암시들은 '우리의' 암시인 것입니다!" 국장은 목청을 돋우어 힘 있게 말했다. "그것은 국가로부터 나오는 암시입니다." 국장은 테이블을 쾅 하고 내리치며 말을 이었다 "따라서.......” 그때 뒤에서 무슨 소리가 들렸다. 국장은 뒤를 돌아다보았다. "오, 포드 님. 이걸 어쩌지!" 국장은 이내 부드러운 말투로 바꾸어 말했다. "제가 아이들을 깨웠습니다."
Even today, unconscious repetition and media suggestions are powerful tools in shaping public judgment and values. In a society that favors convenience over critical thinking, control becomes increasingly normalized. Without nurturing critical inquiry, education and information risk becoming manipulable instruments of power.
멋진 신세계
올더스 헉슬리 지음/정승섭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