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자만들기]금융지식100가지-224

The financial system is shifting from indirect banking markets, where institutions deal one-on-one with clients, to direct securities markets, where standardized assets like stocks and bonds are traded competitively. Stock exchanges enhance liquidity by centralizing orders, using auctions or market makers to form reliable prices and support bond pricing and secondary markets. Insurance enables risk-sharing for unforeseen events through public and private schemes, offering life or non-life coverage and managing long-term funds for both social and industrial needs. Leasing provides asset access through financial leases, akin to loans with maintenance by lessees, or operating leases, service-focused with lessors covering upkeep, favored in Korea for tax benefits. Venture capital supports high-tech but cash-poor startups via equity or loans, typically exiting through IPOs, backed by legal frameworks since the 1980s and often structured as investment partnerships abroad. Each element—markets, exchanges, insurance, leasing, and venture capital—plays a vital role in mobilizing and allocating capital efficiently across the economy. The move toward market-based finance reflects the demand for liquidity, innovation, and diversified funding sources beyond traditional banking. Exchanges standardize and secure trading environments, enhancing investor trust and contributing to price transparency and capital flow. Insurance and leasing offer financial stability and operational flexibility to individuals and firms, facilitating risk management and resource optimization. Venture capital fosters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bridging the gap between technological potential and financial backing, driving long-term economic growth.

 

21. 은행시장과 증권시장

은행시장과 증권시장의 차이는 단기금융인가 장기금융인가, 간접 증권인가 본원적 증권인가 하는 점이다.

(1) 은행시장과 증권시장

은행시장(대출·예금시장)은 금융기관 과 고객이 11로 연결된 개별형 거래로 상 대적 거래(order made)시장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금융상품이 규격화되어 있고, 객 관적 평가로 가격이 결정된다는 것을 전제로 누구라도 자유롭게 경쟁적으로 참여하여 가 격 및 거래조건이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경우 이것을 시장거래로 부르고, 이 시장거래가 되고 있는 시장을 협의의 금융시장이라고 한 다. 이 가운데 상품이 1년 미만인 것을 단기 금융시장(money market), 1년 이상을 장 기금융시장(자본시장 - capital market)이 라고 부른다. 단기금융시장 가운데 은행간 시장(inter-bank market)은 금융 시장의 일시적 여유·부족자금을 대차, 운용, 조달하는 시장으로 콜시장과 어 음매매시장이 있다. 또 공개시장(open market)은 기업과 같은 비금융부문도 참여할 수 있는 금융시장으로 CD(양도성 정기예금), CP(자금수요자가 발행하 는 단기약속어음), 통화안정증권, 산업금융채권 등의 시장이 있다. 이와 같은 공개시장의 금융자산상품은 미국과 영국의 것과 기능이 유사하나 반드시 제도 나 관행이 같지는 않다. 자본시장은 주식, 채권에 의한 장기자금을 조달·운용하는 시장이다. 일 반적으로 증권시장이 여기에 해당한다. 증권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은 서로 연 계되어, 예컨대 유통시장의 가격 및 거래는 신규 발행증권의 발행조건(금 액, 기간, 금리, 상환조건 등)을 사실상 결정하고 있으며, 또 발행조건은 이미 발행된 증권 유통시장에 영향을 준다.

(2) 은행시장과 증권시장의 차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은행시장은 간접금융방식(간접증권 발행에 의한 자금으로 본원적 증권을 구입한다는 자산변환방식)이고, 다른 한편 증권 시장에서는 증권회사가 본원적 증권을 최종구입자에게 직접 매개하는 직접 금융기능을 갖고 있다. 그런데 근년에 와서 간접금융방식이 차지하던 압도 적 비중이 상실되었고, 은행은 그 사이 증권투자와 증권금융을 확대하였다. 은행의 이와 같은 행동도 간접금융의 변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은행의 신탁업무도 증권투자를 확대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은 시장구조 및 금융환 경의 변화에 기인한 것인데, 이러한 새로운 은행 행동을 간접금융의 변형이 라고 하는 것은 무리이다. 이 때문에 현재의 유용한 분류는 은행 자산 운용을 상대형 방식 또는 대출 형 금융방식이라 부르고, 불특정 다수의 참가자가 시장거래의 형태로 자유롭게 거래조건 및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을 시장형 방식 또는 증권형 방식이라 고 부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이는 금융자산의 매각에 의한 유동성(통화) 을 얻는 것이 쉬우냐 아니냐 하는 분류가 오히려 실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금융현상을 보면 상대형금융시스템에서 시장금융형시스템으 로 비중이 옮겨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22. 증권거래소란

증권거래소는 거래소라는 물리적 장소를 만들어 그 곳에서 가능한 한 많은 증권매입(수요)과 증권매도(공급)를 집중시켜 환금기회를 높이고 일물일가(一物一價)의 균형가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1) 증권거래소의 기능

증권발행의 목적은 발행자측에서 보면 장기자금을 조달하는 것이나, 이것을 매입하 는 측(자금공급자측)에서 보면 장기적으로 자금이 구속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가 격형성이 왜곡되어 자본손실이 발생한다면 그것은 불공정한 일이다. 따라서 증권투자에 일반대중이 참여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증 권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것과  모든 거래 참가자에게 증권가격형성이 공정하고 신뢰 가 가도록 하여야 한다. 채권의 거래소 거래 는  대표적인 상장채권가격이 일종의 지표 가격으로 여겨져 다른 채권은 이것을 기준으 로 장외거래될 수 있도록 하는 가격공시기 능, ② 업자의 재고조절을 위한 딜러간 시장으로서의 의의를 갖고 있다. 주식 과 채권의 양면성을 갖고 있는 전환사채는 그 가격이 오히려 주가에 연동되어 있어 거래소 거래가 중심이 된다.

(2) 가격형성방법

거래소에서 거래에 참여하려면 거래소 회원이 되어야 한다. 우리 나라 증권회사는 모두 한국증권거래소 회원이다. 일반고객은 증권회사에 거래를 위 탁함으로써 거래소 거래에 참여할 수 있다. 거래소에서 가격이 형성되는 방법 에는 두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경매방식(auction)이다. 우리 나라, 미국, 일본 등이 이 방식을 사 용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증권회사 단말기에 매매주문을 입력시키면 전산 매매시스템에 의해 매매주문이 서로 연결된다. 매입주문은 가격이 높은 것부터, 매도주문은 가격이 낮은 것부터(가격우선이라고 한다), 가격이 같으면 시 간이 빠른 주문부터(시간우선이라고 한다) 순차적으로 적용시켜 수량과 가격을 일치시켜 간다. 두번째는 시장조성자(market maker)에 의한 방법으로 일반적으로는 장외 거래에서 많이 쓰는 방법이다. 런던증권거래소에서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런던증권거래소에서는 어떤 증권에 대하여 시장조성자라고 불리우는 증권회사 가 매도가격, 매입가격, 매매희망주식수(최저 1,000)를 제시한다. 시장조성 자는 자기가 제시한 가격 및 주식수에 대하여 거래에 응할 의무가 있다. 여기 서 고객 주문을 받은 증권회사는 가장 유리한 가격을 제시한 시장조성자와 거래 할 의무가 있다.

 

23. 보험이란

보험이란 우연한 사건에 의해 생기는 경제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 하여 필요한 자금을 분담하여 갹출하는 경제적 제도를 말한다.

(1) 보험제도의 분류

보험제도를 분류하면 민간보험회사 가 운영하는 생명보험, 화재보험 등의 사 보험과 국가 및 지방공공단체가 사회보장 정책 및 경제정책의 실현수단으로써 강제가 입시키는 수출보험, 의료보험, 고용보험 등 의 공보험이 있다. 그러나 보험제도의 발전 에 따라 강제가입의 자동차책임보험을 민간 보험회사가 판매하고 있어 사보험과 공보험 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곤란하다.

(2)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생명보험이란 일정기간내에 사람이 사망한 경우, 혹은 일정기간 생존 한 경우 일정금액의 보험금을 지불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양자를 결합 시킨 양로보험이 보급되어 있다. 생명보험의 기본패턴은 양로보험, 생존보 험, 사망보험이 있다. 양로보험은 만기시에는 만기금, 사망한 경우에는 계 약한 보험금을 지급한다. 생존보험은 일정기간 생존한 경우 약속보험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저축중시형 보험이다. 사망보험은 보험에 가입한 사람이 사망한 경우에만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장중시형보험이다. 손해보험이란 일정 기간내에 우연한 사고에 의해 손해가 발생한 경우 그 손해에 해당하는 금액을 보험금으로 지급하는 것이다. 손해보험에는 화재보 험, 상해보험, 자동차보험, 그 밖에 골프보험, 테니스보험 등이 있다.

(3) 사회보험과 공제

사회보험은 국가의 사회정책적 보험으로 강제가입을 시킨다. 보험료 는 가입자의 부담능력(소득)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사회보험에는 의료보험, 고용보험, 산업재해보험 등이 있다. 공제란 원칙적으로 어떤 직종, 어떤 지역에 한정된 사람이 구성원이 되어 출자하여, 그 갹출금을 구성원의 불의의 재해에 활용하는 제도이다. 순수한 의미의 보험제도와는 다르나 최근 구성원이 불특정화 하는 경향이 있는 공 제제도도 있어 보험과 구별이 곤란하게 되었다.

(4) 보험회사의 부가적 기능

보험회사는 보험계약자로부터 보험료를 징수하여 보험사고가 발생하 면 보험계약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하나, 보험료 징수와 보험금 지급 사이에 는 상당한 시간적 간격이 발생하여 상당한 여유자금을 보유하게 된다. 특히 20, 30년 또는 종신이라는 극히 장기간인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생명보험 회사는 다른 금융기관에 비하여 초장기의 안정적인 자금축적이 되므로 이 자금의 효율적 운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험회사는 보험서비스를 제공한다 는 본원적 업무 이외에 장기성 산업자금의 공급자 및 기관투자가로서의 기 능도 하고 있다. 보험산업은 사회성 및 공공성이 강한 사업으로 이를 통하 여 보다 내실 있는 사회보장제도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보험산업에 대하여는 정부가 진입, 책임준비금, 재산운용, 보험료율, 상품 등에 대하여 규제하고 있다.

 

24. 리스란

리스는 크게 운영리스와 금융리스로 나눌 수 있다.

(1) 리스란

리스는 임대인이 설비자산 또는 현금 이 아닌 자산을 임차인에게 임대료의 정기 적 지급을 조건으로 빌려주는 임대차계약 의 일종이다. 일반적인 부동산임대차가 아 니고 생산, 가공, 운반 등에 필요한 일반 산업기계, 사무기기, 설비, 더 나아가 항공기, 선박 등의 임대차를 가리킨다. 기업이 기계 및 설비 등을 조달하는 방 법에는 매입과 임차의 두 가지가 있다. 매입에는 현금구입, 할부구입, 외상구입 등이 있다. 임차에는 리스(lease), 렌탈 (rental), 차터(charter) 등이 있다. 매입 은 소유권을 확보하게 되고, 기계·설비 등을 자산으로 계상하여 감가상각을 하게 된다. 임차 중 렌탈은 기계, 설비 등을 임 차계약에 따라 임의의 기간동안 사용하며,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에게 범용 성있는 물건을 임대하게 된다. 한편, 리스는 특정 이용자에게 특정 물건을 임대하는 것이다. 차터는 주로 항공기, 선박 등의 수송기기에 이용되는 임 대형식이다. 리스에서는 대상물건 사용년수에 대응한 기간동안 임대차하여 투하자금의 금리, 보험료 등을 추가한 것을 리스료로 하게 된다. 임대측에서는 리스료를 수익으로 계상하게 되고 임차측에서는 리스료를 비용으로 계상하게 된다.

(2) 운영리스와 금융리스

리스는 크게 운영리스(operating lease)와 금융리스(financial lease, capital lease)로 나눌 수 있다. 금융리스는 기업에 자금을 빌려주는 대신에 기계·설비 등을 빌려주는 것이 다. 운영리스는 금융적 성격은 희박하고 서비스적 성격이 강한 것이다. 금융리스에서는 원칙적으로 임차인이 물건의 수선, 유지, 보수, 관리비용을 부담 한다. 운영리스에서는 일반적으로 그것을 임대인인 리스회사가 부담한다. 리스회사가 시설자금대출을 해주는 대신에 리스의 형태를 취하는 이유는 주로 세금절약효과(tax shield) 때문이다. 임대인인 리스회사는 기계·설비 의 감가상각에 따라 세금절약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임차인으로서는 리스료 에는 순수한 임차료 이외에 원금의 분할상환금도 포함되어 있어 원리금 전 체가 세제상 비용으로 인정된다. 그러나 차입을 한 경우에는 이자만 비용으 로 인정되고 원금상환금은 비용으로 인정을 받지 못한다. 이 때문에 여유자 금이 있는 경우에도 여유자금은 은행에 예치하거나 주식·채권 등에 투자하 고 리스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금융리스는 원금상환분을 비용으로 인정해 주지 않고 리스설비 감가상각을 통해서 비용인정을 받는다. 우리 나 라 리스회사가 취급하는 리스는 대부분 운영리스이다.

 

25. 벤처캐피탈이란

벤처캐피탈은 신기술을 갖고 있으나 자금력이 없는 기업에 자금을 지원해 준다.

(1) 벤처캐피탈이란

벤처캐피탈이란 모험기업(venture business), 즉 새로운 기술 및 경영노하우 를 무기로 시장에 신규로 참여하려는 기업 에 출자 또는 대출을 하여 그 육성을 도모 하는 전문금융기관을 말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벤처캐피탈을 신기술금 융사업이라고 부르고 있다. 은행, 생명보험 회사, 증권회사 등이 중심이 되어 벤처캐피 탈을 설립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우량성 장기업을 발굴·육성함으로써 모체 금융기 관의 거래처 확대 등으로 연결되기 때문이 다. 또 모험기업이 주식을 공개하였을 때 보 유주식을 시장에 매각함으로써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 나라 정부 는 1998 1 1일부터 여신전문금융업법을 시행하여 신용카드, 리스, 할부금 융, 벤처캐피탈을 함께 할 수 있는 여신전문금융기관 설립을 허용하였다.

(2) 벤처캐피탈의 필요성

고도로 발달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소비자의 가치관이 다양화하는 가운데 시간적·정신적으로 여유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고, 서비스 소비가 증가한다. 한편, 기업측에서도 이와 같은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경영합리화, 지식집약화의 진전과 함께 연구개발, 디자인, 정 보처리 등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이와 같은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독창적 신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험기업이 발전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신흥기업은 충분한 물적 자산도 없고 재무상태도 취약 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은행으로부터 차입하는 것은 담보가 없으므로 불가 능하고, 사채발행은 신용등급이 낮아 불가능하며 주식발행은 주식공개기준에 미달하여 불가능하다. 자금을 필요로 하는 성장기업에 자금공급이 불가능 하다는 모순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써 1946년 미국에서 처음 실시된 뒤 1960년 대 이후 급속히 발전하여 왔는데 우리 나라에는 1974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AIST)연구결과의 기업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과학기술진흥()이 설 립되면서 처음 도입되었다. 그후 1986 4월과 12월에 중소기업창업지원법과 신기술사업금융지원에 관한법률이 각각 제정됨으로써 그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미국 벤처캐피탈은 자기자금에 의한 투자를 할 뿐만 아니라 연금기금, 대학 기금, 개인 등으로 투자사업조합을 구성하여 모험기업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 다. 미국은 회사설립으로부터 주식공개에 까지의 기간이 3~7년으로 매우 짧 아서 많은 투자자를 유인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영국중앙은행이 출자한 벤처 캐피탈을 비롯하여 약 100개 사가 장기대출, 우선주보유 등을 합성한 형태로 활동하고 있다.

 

알기 싫어도 반드시 알아야 할 금융지식 100가지
박세운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