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정치철학]군주론-208

 

Machiavelli was born in 1469 in Florence and worked as a diplomat and military reformer. After the fall of the Florentine Republic, he was exiled and wrote The Prince, emphasizing political realism. His works provide practical strategies for governance and power maintenance, significantly influencing future political thought.

============================================================

[마키아 밸리의 생에와 주요 사건]

1453: 백년전쟁이 종결됨.

1454: 로디 평화조약에 의해서 1494년까지 이탈리아에서 세력균형이 이루어짐.

1469  5: (3) 피렌체에서 마키아벨리 출생.

1479: 카스티야 여왕 이사벨과 1469년에 결혼한 아라곤의 페르난도가 아라곤 국왕으로 즉위함으로써 스페인 연합왕국이 성립함.

1481  11: 파올로 다 론실리온의 학교를 다니게 됨.

1480년대 말: 아마도 이 시기에 피렌체 대학에서 마르첼로 아드리아니(Marcello Adriani)의 강의를 받은 것 같음.

1494: 샤를 8세가 나폴리 왕국을 점령함.

14986: 대위원회에서 피렌체 공화국의 제2장관으로 인준됨.

14986: 10인 전쟁위원회의 비서로 선출됨.

149811: 10인 전쟁위원회를 대표하여 마키아벨리가 수행한 외교 사절로서의 일련의 임무 중 최초의 활동으로 피옴비노의 통치자에게 파견됨.

14997: 카테리나 스포르차리아로에게 파견됨.

1499-1500: 루이 12세가 밀라노를 점령함.

1500 7~12: 프랑스의 루이 12세 궁정에 파견됨.

1501: 마리에타 코르시니(Marietta Corsini)와 혼인함(슬하에 여섯 아이를 두게 됨).

1501 12: 보르자를 수행하여 체세나와 시니갈리아에 감.

15031: 보르자의 궁정으로부터 돌아옴.

15034: 시에나의 군주인 판돌포 페트루치에게 파견됨.

150310-12: 율리우스 2세의 선출을 참관, 보고하기 위해서 로마의 교황청에 파견됨.

15041-2: 루이 12세의 궁정에 두 번째로 파견됨.

15047: 판돌포 페트루치에게 두 번째로 파견됨.

1504: 아라곤의 페르난도가 나폴리 왕국을 탈환함.

150512: 마키아벨리가 피렌체의 시민군을 재건하기 위해서 제안한 계획이 잠정적으로 승인됨.

15061: 피렌체 북쪽의 무겔로에서 시민군의 충원을 도움.

1506  8-10: 교황청에 두 번째로 파견됨. 율리우스를 수행하여 비테르 보에서 오르비에토, 페루지아, 우르비노, 체세나 및 이몰라에 감.

150612: 대위원회는 9인의 시민군 위원회를 창설하고 마키아벨리를 그 비서로 임명함.

150712: 막시밀리안 황제의 궁정에 파견됨.

15086: 황제의 궁정에서 돌아옴.

1509: 루이 12세가 베네치아를 격파함.

15106-9: 루이 12세의 궁정에 세 번째로 파견됨.

15119: 루이 12세의 궁정에 네 번째로 파견됨.

15128: 스페인 군대가 피렌체 영토를 공격하고 프라토(Prato)를 약 탈함.

15129: 피렌체가 항복함. 메디치 가문의 복귀, 공화정이 해체됨.

151211: 마키아벨리는 장관직에서 해임되고(7), 피렌체 영내 거주 1년형을 선고받음(10),

15132: ()메디치 가문의 음모에 가담한 혐의로 기소되어 재판 및 고문을 받고 투옥됨.

1513 3: 감옥에서 석방됨(11).

1513 4: 피렌체 남쪽에서 7마일 떨어진 산탄드레아의 농장에 은둔함.

1513 7~12: 「군주론」의 초고를 집필함.

1515: 코시모 루첼라이가 주재하는 피렌체의 오르티 오리첼라 리(Orti Oricellari)에 있는 토론 그룹에 자주 참석하기 시 작했음. 「로마사 논고(Discorsi)」를 루첼라이에게 헌정하 면서 마키아벨리는 그 책이 루첼라이의 간청에 의해서 집 필되었으며 그들의 모임에서 논의되었음을 암시함.

1518: 「만드라골라(Mandragola)」를 집필함.

1518 or 1519: 「로마사 논고」를 완성함.

1520: 「전술론(Arte della guerra)」과 「카스루치오 카스트라카니 다 루카의 생애(La vita di Castruccio Castracani da Lucca)」 를 집필함.

1520 11: 추기경 줄리오 데 메디치(Giulio de' Medici ; 나중에 교황 클레멘스 7세가 됨)로부터 피렌체의 역사를 기술해달라 는 위촉을 받음.

1521: 「전술론」을 출간함.

1525 5: 교황 클레멘스 7세에게 완성된 「피렌체사(Istorie fioren-tine)」를 증정하기 위해서 로마를 방문함.

1526: 「만드라골라」를 교정하고 추가함.

1527 6: 서거(21); 피렌체의 산타 크로체에 매장됨(22).

1531: 「로마사 논고」가 출간됨.

1532: 「군주론」과 「피렌체사」가 출간됨.

========================================================

 

[군주국의 종류와 그 획득 방법들]

인간에 대해서 지배권을 가졌거나 가지고 있는 모든 국가(stato)나 모든 통치체(dominio)는 공화국 아니면 군 주국입니다. 군주국들은 (통치자가 오랫동안 같은 가 문으로부터 내려오는) 세습 군주국이거나 신생 군주국입니다. 신생 군주국은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통치 하는 밀라노처럼) 전적으로 새롭게 탄생한 군주국이거 나 (스페인 왕이 통치하는 나폴리 왕국처럼) 기왕의 세 습 군주국의 군주에게 정복당하여 그 일부로 새로 편입 된 군주국입니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편입된 영토에는 군주 통치하에서 사는 데에 익숙한 곳들과 그렇지 않고 자유롭게 사는 데에 익숙한 곳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영토를 획득하는 방법에는 타인의 무력을 이용하는 경우와 자신의 무력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운명(fortuna)에 의한 경우와 역량(virtú)에 의한 경우가 있습니다.

 

[세습 군주국]

공화국에 대해서는 다른 곳에서 길게 논의한 바가 있 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따라서 저는 군주국에 대해서만 고려하려고 하는데, 앞에서 제시한 순서에 따라서 어떻게 이 군주국들을 통치하고 유지할 수 있는가를 검토할 것입니다. 현재 다스리는 군주 가문의 통치에 익숙한 세습 군주 국(principato ereditari, hereditary principality)은 신생 국가보다 훨씬 더 용이하게 보존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 겠습니다. 왜냐하면 세습 군주국의 경우에는 선조의 기 존 질서를 바꾸지 않으면서 불의의 사태에 적절히 대처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세습 군주가 어지간히 근면하기만 하면, 의외의 아주 강력 한 어떤 세력이 출현하여 그에게서 나라를 빼앗지 않는 한, 그의 통치는 항상 안정될 것입니다. 그리고 설사 그 러한 사태가 일어나서 권좌에서 물러난다고 해도, 새 정 복자가 어려움에 처하게 되면, 이전의 군주는 바로 예전 의 지위에 복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탈리아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페라라 공작은 1484년의 베네치아인들의 공격과 1510년의 교황 율리 우스의 공격을 물리쳤는데, 그 이유는 단지 그의 가문 이 그 지역에서 오랫동안 통치하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 다. 세습 군주는 신생 군주에 비해서 사람들을 괴롭힐 이유나 필요가 많지 않습니다. 그 결과 그는 더 많은 호 감을 얻게 됩니다. 따라서 군주가 상식밖의 사악한 비 행으로 미움을 사지 않는 한, 신민들이 그를 따르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더욱이 군주 가문의 통치가 오래 지속될수록 예전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기억과 그 원인은 희미해지기 마련입니다." 어떠한 변화든지 으레 새로운 변화를 초래하는 화근을 남기기 때문입니다.

 

군주론 지은이 : 니콜로 마키아밸리

옮김이 : 강정인, 김경희